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관련 주요 기한 요약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린이놀이시설에 대한 안전관리는 관련 법령을 준수해 관리해야 합니다. 그 만큼 어린이 놀이시설에서 사고가 많기 때문인데요. 안전관리에는 기한이 있습니다. 이 기한을 넘기지 않도록 정리했으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주요 기간
어린이놀이시설안전관리법 등에 규정된 안전관리 주요 기한 요약입니다. 이 기한을 넘기지 않도록 숙지 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기 간 | 주 요 내 용 |
10일 이내 | 중대사고발생시 관리감독기관으로 부터 자료제출 명령을 받은 경우 제출 기한 (일반자료 제출 : 20일) |
15일 이내 |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시스템에 안전관리자 선임, 배치 신고 기한 |
장기시설검사 결과 불합격 통보를 받은 경우 재검사 신청 기한 | |
물환경보전법에 따라 물이용 어린이놀이시설 설치 운영시 시,도지사에게 신고하는 기한 | |
30일 이내 | 신규 아파트 인도 후 최초 보험가입 기한 (대인 8,000만원 / 대물 200만원 이상) |
환경보건법령에 따라 어린이놀이공간의 위해성 관리를 기관으로부터 받아야 하는 기한 | |
1개월 이내 | 안전전검 결과 위해의 우려가 있는 경우 이용금지 조치 후 안전진단 기관의 장에 안전진단 요청 기한 |
장기시설검사 – 유효기간 만료일 이전 신청 기한 | |
2개월 이내 | 설치검사, 장기시설검사 불합격 / 안전진단 결과 위험하다고 판정한 경우 시설개선계획을 관리감독기관의 장에게 제출하는 기한 |
3개월 이내 | 어린이놀이시설 인도받은 경우, 안전관리자가 안전교육을 이수해야 하는 기한 (특별교육) |
안전관리자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날로부터 안전교육을 이수해야 하는 기한(특별교육) | |
연 2회 이상 | 공동주택관리법 시행규칙(별표2)에 따라 위생진단 회수 |
2년에 1회 이상 | 어린이 놀이시설 정기시설검사를 받아야 하는 기한 |
안전관리자가 안전교육을 받아야 하는 유효기간(유효기간 만료일전 3개월 이내 신청 가능) | |
3년 | 매월 1회 안전점검 실시 후 안전점검대장에 서명하여 기록보관 기한 |
관련 내용으로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점검과 안전진단 방법은 아래 카드를 눌러 참고해 보세요.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점검과 안전진단 방법
함께 보면 좋은 내용
이상으로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등에 규정된 안전관리 주요 기한 요약입니다. 이 기한을 넘기지 않도록 숙지 하시고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